티스토리 뷰
목차
신탁원부 인터넷 빌급 방법과 등기소 조회는 부동산 거래에서 중요한 절차입니다. 신탁원부를 통해 신탁계약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부동산 거래 시 필수적입니다. 이 글에서는 신탁원부 인터넷 빌급 방법과 관련된 등기소 조회 절차를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신탁원부 인터넷 발급 vs 등기소 방문 발급
신탁원부를 발급받을 때, 두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각 방법의 특징을 아래에서 비교해 보겠습니다.
1. 신탁원부 인터넷 발급
2025년 1월 31일부터 인터넷을 통해 신탁원부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인터넷 발급은 집에서 손쉽게 발급받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.
- 발급 시작일: 2025년 1월 31일부터
- 수수료: 기본 발급 수수료 700원
- 추가 수수료: 페이지 수가 많아질 경우 추가로 50원이 부과됩니다.
- 신청 방법: 인터넷 등기소(https://www.iros.go.kr/)에 접속하여 부동산 고유번호를 입력한 후, 신탁원부를 선택하여 발급을 신청합니다. 결제 후 신탁원부를 바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.
- 편리함: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발급이 가능하며, 등기소 방문 없이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.
2. 등기소 방문 발급
기존에는 등기소를 직접 방문하여 신탁원부를 발급받아야 했습니다. 현재도 방문 발급을 원하시면 가능합니다.
- 발급 시작일: 신탁원부 발급은 언제든지 등기소에서 가능합니다.
- 수수료: 기본 수수료 1,200원 (1통 기준)
- 추가 수수료: 발급하는 신탁원부의 페이지 수가 20장을 초과할 경우, 초과한 페이지마다 1장당 50원의 추가 수수료가 부과됩니다.
예시:
신탁원부 1통이 25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:
- 기본 수수료: 1,200원
- 추가 수수료: (25페이지 - 20페이지) × 50원 = 250원
- 총 수수료: 1,200원 + 250원 = 1,450원
등기소 방문 발급은 대기 시간이 있을 수 있으며, 수수료가 인터넷 발급보다 더 비쌀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요?
인터넷 발급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. 반면, 등기소 방문 발급은 직접 방문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시간이 촉박하거나 집에서 편하게 발급을 받으려면 인터넷 발급을 추천드립니다.
신탁원부 발급에 대한 유의사항
신탁원부 발급 시 주의해야 할 점은, 신탁회사가 실질적인 소유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. 신탁원부를 발급받고 나면 해당 부동산에 대한 권리관계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,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부동산 거래 시 신탁원부를 반드시 확인하여, 신탁계약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기타 유용한 링크
신탁원부 발급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: